작성일 : 13-09-04 11:54
[연재] 우이형 김형섭 임플란트-07
 글쓴이 : dentalnews (112.♡.217.36)
조회 : 1,810  
[연재] 우이형 김형섭 임플란트-07 

제목은 passive fit(Ⅱ)으로 해주세요
--------------------------------------------------------------------

Passive Fit!!!

임플란트 framework와 하부 구조간의 passive fit은 성공적인 장기간의 osseointegration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적합이 불량한 임플란트 framework은 보철물과 임플란트 시스템 간의 기계적인 실패나 주변 조직에 생물학적인 합병증을 발생시킬 수 있다. 기계적인 합병증은 보철물, 지대주 나사의 풀림이나 다양한 임플란트 부품의 파절 등이 발생된다.
일반적인 고정성 보철 구조물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정성 임플란트 지지 framework의 misfit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변형은 3차원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한개 또는 두개 이상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며 그 이유는 주로,
1) implant alignments
2) impression techniques
3) 사용 재료
4) framework design과 형태
5) 기공과정
6) 임상/기공 경험 등이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형의 가능성은 매우 크며 또한 이러한 변형은 자연치에서는 미세한 경우는  허용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임플란트 보철에서는 허용이 불가능하다.
더구나, 변형은 보철물 크기의 증가로 나타난다. multiple unit 자연치 보철의 one-piece 주조는 기술적으로 매우 예민하고 약간의 변형(약 100㎛)은  피할 수없다. 따라서 다양한 인산 방법, verification jig, low fusing metal cast, 주조후 납착 및 master reference cast등의 다양한 방법이 framework 제작시의 misfit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추천되고 있다. 주조 후 절단과 재납착은 약간의 오차를 줄일 수는 있지만 절대적인 적합은 얻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 되고 있지만 장기간의 성공율에 대하여는 신뢰하기 어렵다.
결국은  임상가와 기공사의 절대적인 적절한 기술과 충분한 경험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여러 학자들이 임플란트 보철의 허용 오차범위를 밝히려 노력하였다. 1983년 Branemark가 최초로 “Passive fit"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고 교합력에 반응하여 골의 성숙과 개조를 허용하는 오차는 10㎛라고 하였다. 1985년 Klineberg와 Murray는 abutment 전체 변연에서 30㎛이상의 오차 부위가 10% 이상인 것은 임상적으로 부적절하다고 하였다. 1991년 Jemt는 passive fit이란 장기간의 임상적인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는 적합도를 말하고 150㎛ 이하의 misfit은 허용한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경험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보철물이 처음 저항감을 가지고 안착된 후에 완전히 장착시키기 위하여 gold screw를 1/2이상 회전 시켜야 하는 것은 부적절한 구조물의 misfit이다”라는 것이다.
비록 다양한 수치적인 보고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임상적으로 검사 할 수 있는 것은  지금 언급한 경험적인 방법이다. 
자연치열에서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비교적  큰 오차범위가 허용되는 것은 치근막이 탄성을 가지고  상아질도 약간의 탄성을 가지지만 osseointegration된 임플란트에는 탄성이 없기 때문에 다르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nonpassive fit의 합병증은 골소실, abutment 파절, 연결 나사의 파절 및 풀림 등이다. 앞으로 수회에 걸쳐서 passive fit 얻을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함께 생각하고자 한다.





그림1                                              그림2

그림 1 External hex를 갖는 임플란트의 경우에 임플란트 head 부분이 치은연하인 경우에 abutment의 안착을 방사선 상으로 확인하지 않고 최종수복물을 제작한 경우로 후방 보철물의 misfit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방사선으로 임플란트와 abutment 간의 연결관계의
확인이 중요하다.
그림 2. 최봉수복물을 제거하고 자른 후 abutment가 제대로 안착이 되었는지 확인한 후 soldering block을 채득하여 soldering 후 재 장착시켜 주었다. 이런 환자나 술자 모두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서는 단계별로 확인하는 과정이 중요하다.